1. 심리학이란?
심리학은 인간, 비인간의 행동과 마음에 대한 심층적으로 분석한 과학적인 연구입니다. 심리학에는 생각, 사고, 감정을 포함한 무의식적 및 의식적인 행동과 현상에 대한 연구가 포함됩니다. 심리학은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경계를 넘어 광범위한 학문 분야입니다. 심리학자들은 개인이나 집단의 행동을 알아보고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2. 심리학의 어원과 정의
심리학이라는 어원은 정신, 영혼을 뜻하는 그리스어 Psyche에서 파생되었으며 심리학이라는 말은 르네상스 시대에 들어와 처음으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1890년 윌리엄 제임스는 '정신적 삼의 현상과 조건 모두에 관한 과학'이라고 정의를 하였고 이 정의는 수십 년간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정의의 의미는 John B. Watson과 같은 급진적 행동주의자들과 논쟁이 많았습니다. 그는 1913년 학문을 '자연과학'이며 목표로는 '행동 예측 및 제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제임스가 '심리학'을 정의한 이래 이 용어는 과학적인 실험들을 더 강하게 암시하고 있었으며 민간심리학은 평범한 일반 사람들의 모습을 말하며 사람들의 정신상태와 행동에 대한 이해를 뜻합니다.
3. 심리학자란?
이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직 또는 학자와 연구자들은 심리학자로 불리고 있으며 행동 과학자 또는 인지과학자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심리학자들 중에서는 개인행동이나 사회적 행동에서 정신 기능의 역할을 연구하고 이해하려고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또 일부 심리학자 들은 인지 기능과 행동의 기초가 되는 신경 생물학적 및 생리학적 과정을 연구합니다.
심리학자들은 인지, 주의력, 지성, 감정, 동기부여, 주관적 경험, 뇌 기능성 및 성격발달에 관한 연구에도 관여하고 있습니다. 심리학자들은 가족회복력, 대인관계, 심리적 회복, 개인적인 심리 외에도 다른 영역에 심리학까지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여러 심리학자들은 사회적 변수 간의 상관관계와 인과 관계를 추론해 내기 위해 경험적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상담 심리학자나 임상 심리학자들 중에는 상징적인 의미를 해석하여 의존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심리학은 일부 정신 건강 문제의 치료나 평가에도 적용하여 해결할 수도 있지만 사람과 사람의 일부 영역에서의 문제를 이해하고 문제 해결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심리학의 많은 설중에는 사회에 이익을 가져오는 것을 최종적으로 목표로 삼고 있다고 합니다. 대부분의 심리학자들은 치료적 역할에 관여하고 상담, 임상, 심리치료를 실천하고 있으며 일부 심리학자들은 정신적인 과정이나 행동등에 관련하여 폭넓은 주제에 대해서도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심리학자들은 대학, 의학, 병원등에서 학술적인 부분에서 일을 하고 있으며 또한 기업체, 산업등에서도 고용되어 있습니다. 그 외 인간의 정신적인 발달, 스포츠, 교육, 건강 등에 관한 일에도 종사하고 있습니다.
4. 심리학의 배경
심리학은 고대 이집트, 그리스, 인도, 중국, 페르시아 문명에서도 모두 심리학을 철학적 연구를 해왔습니다. 고대 이집트의 파피루스는 사고장애와 우울증에 관해 언급하였고 탈레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그리스 철학자들은 마음의 작용에 대해 이야기한 것에 주목이 됩니다. 기원전 4세기경 그리스의 히포크라테스는 정신적 장애가 신체적인 원인에서 발생한다고 이론화하기도 했습니다. 기원전 387년 플라톤은 머릿속의 뇌가 정신적인 일이 일어나는 것이라고 이야기하였으며 기원전 335년 아리스토텔레스는 심장에서 일어나는 것이라고 이야기하였습니다.
중국에서는 공자와 노자의 철학작품 속에서 심리적 이해도가 생겼고 그 후 불교를 통하여 성장하게 되었습니다. 이 심리학의 본체에는 내성과 관찰에서 얻은 통찰뿐만 아니라 집중적인 사고와 행동을 위한 기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심리학은 우주를 물리적 현실과 정신적 현실의 구분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신과 육체의 상호작용으로 구성합니다. 중국 철학은 덕과 힘을 높이기 위해서 마음을 맑게 하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힌두교의 영향을 받아 인도 철학은 인식의 종류 차이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힌두교의 기초의 영향을 받아 사람의 일시적인 흔한 자아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영혼을 구별하는 것에 대해 탐구하였고 다양한 힌두교 교리와 불교는 자기 계층 구조에 이의를 제기하여 왔지만, 모두 더 높은 인식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을 중요하게 강조해 왔습니다. 요가에서도 이 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자세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죄 심리학에 대해서 (0) | 2023.06.22 |
---|---|
스포츠 심리학에 대해서 (0) | 2023.06.22 |
상담 심리학에 대해서 (0) | 2023.06.21 |
발달 심리학에 대해서 (0) | 2023.06.21 |
교육 심리학에 대해서 (0) | 2023.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