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사회 심리학에 대해서

by Aexc 2023. 6. 23.

사회심리학은 사회적 상황들에 따라 개인의 생각과 행동, 느낌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공동체와 개인간의 생각차이와 상호작용은 어떻게 이루어 지는지를 심리학적인 측면으로 연구하는 학문이며 이 학문의 연구학자들은 사회학자로 불립니다.

 

사회심리학
사회심리학_공동체

 

1. 사회심리학과 사회심리학자란?

사회심리학은 사회적인 현상 또는 상황이 공동체와 개인들의 행동, 생각, 느낌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한 연구와 공동체와 개인간에 상호작용들이 어떠한 조화를 이루어 사회생활이 이루어 지는지에 대한 심리적인 부분으로 연구하는 학문중 하나이며 이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을 사회학자 또는 사회심리학자라고 말합니다.

 

사회심리학자들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사람들이 행동하고 해결을 위해 방식을 찾는지에 대해 조사하며 그들의 사고, 특정한 행동, 감정의 변화가 일어나는 조건들에 대해 연구를 합니다. 사회심리학은 이러한 특정행동, 감정, 생각, 신념, 의도, 목표가 인지적으로 만들어지는 구성방법과 심리적 반응이 다른사람들과 상호작용하여 어떻게 변화하고 영향을 주고 받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사회심리학의 연구 윤리

사회심리학자들은 윤리적인 현상과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이 부분에서 특히 윤리적 문제들이 분명히 존재를 하고 있습니다. 사회심리학의 목표는 사회적인 문제나 형상을 사회적인 맥락에서 인지하고 특정 행동들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지만 사람들을 사회적인 측면에서 관찰하고 연구한다는 것 자체가 사람들 생각과 행동들에 영향을 끼칠수 있으며 많은 변화들을 불러 일으킬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대다수 사회심리학자들의 실험과 가설에는 속임수(Deception)를 활용하여 실험의 특정 부분들을 숨기고 왜곡시켜 결과를 도출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속임수에는 가짜 참가자들, 가짜 피드백등이 있을수 있습니다.

 

일부 심리학자들은 이 속임수에 대해 비판하면서 어떠한 경우에도 속임수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것은 윤리적으로 맞지 않다고 하며 역할 수행(Role Playing)과 같은 다른 연구 전략등을 통하여 연구하여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역할수행과 속임수를 사용한 연구결과는 다르게 나오고 역할수행 또한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할수 있습니다. 속임수 또한 실험자들과 참가자들 모두 불편해하거나 창피해하는 경우들이 있어 이런경우 역시나 윤리적인 타당성 문제에 비판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사회심리학자들은 연구참가자들의 안녕와 권리를 보호하여야 하는 동시에 연구의 참가자들에 행동에 의미를 지닌 결과와 통찰을 얻기 위해서 모든 심리학 연구자들은 윤리 심의를 거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교육과정중에서 윤리위원회나 기관, 심의 위원회등을 통해 이루어 집니다. 이런 기관들을 통해서 제안된 실험과 연구가 실험참가자들에게 어떠한 위협이나 해를 끼치지 않는지에 대한 여부와 연구를 통해 결과와 통찰을 얻는 것이 실험 참가자들이 겪을 위험과 불편함보다도 중요한지를 따져 진행 여부를 심시합니다.

 

대게의 경우 연구와 실험에 관한 설명과 동의과정이 있어서 실험참가자들이 실험을 통해 경험하게 될 상황과 내용, 언제든지 실험 중단을 요청할수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특히 속임수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한 경우 실험이 끝난 후 사후설명을 실험이 끝난 후 어떠한 속임수를 사용 하였는지에 대해 설명을 해주어야 하며 실험참가자들이 절차상에 피해를 입지는 않았는지에 대해 꼭 확인하여야 합니다. 현대에 들어 대부분 사회심리학 연구들은 일반적인 심리학 검사와 사람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예상이 되는 위험과 피해를 넘는것들은 수반하지 않고 있습니다.

 

3. 사회심리학 연구 방법

사회심리학의 연구방법은 실험참가자가 환경의 변화 요인들을 변화시켜 다른 변화요인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관찰하는 것입니다. 실험연구의 한가지 예시로 두 그룹의 아이들에게 폭력적이지 않은 비디오 게임과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비디오 게임을 자유롭게 하게 한뒤 두 그룹의 아이들이 얼마나 폭력적인 성향을 보이는지를 확인과 연구 하는 것입니다. 실험의 윤리적인 부분과 타당성을 위해 실험에서 조작하는 변화 요인이외의 변화요인들을 통제하여야 하며 실험참가자들을 각각의 조건들에 무선 할당하여야 합니다.

 

또 다른 연구방법으로는 상관연구가 있으며 상관연구는 두가지 이상의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변화요인들 사이에서 통계적인 연관성을 연구하는 것 입니다. 한가지 예시로 가정에서 텔레비전을 통해 폭력적이고 잔인한 내용의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실험군과 이 실험군이 학교나 사회에서 폭력사건에 연루되는 정도의 상관관계를 볼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관연구는 텔레비전을 통해 폭력적인 것들을 시청한것이 폭력 사건 연루가 되는 이유라고 주장할수는 없고 반대로의 인과 관계도 성립할수 있다는것이 한계적입니다.

 

사회심리학들은 여건과 조건이 허용되는 한 통제가 잘 이루어진 실험에 의존합니다. 통제된 실험은 하나 이상의 독립적인 변화 요인을 조작하여 종속적인 변화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합니다. 사회심리학에서 특히 유용한 것이 실험인 이유는 내적 타당성이 높고 다른 외적인 변화요인들의 상관관계에서 자유롭기 때문에 인과 관계를 밝힐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통제된 실험은 실험참가자들의 수가 적어 인과관계에 있어 외적 타당도가 낮고 더 큰 실험참가자 또는 실험군의 결과가 일반화 될수 있는 가능성은 낮은 편입니다.

 

어떠한 실험방법을 쓰는지 관계없이 결과를 도출하여 가설을 평가하고 결과가 예측을 뒷받침하여 기각하는지가 중요합니다. 사회심리학자들은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변화요인들로 인해 우연으로 인한 결과가 얻어질 가능성이 극히 드물며 유의미한 결과로 간주합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교 심리학에 대해서  (0) 2023.06.26
중독 심리학에 대해서  (0) 2023.06.25
임상 심리학에 대해서  (0) 2023.06.23
범죄 심리학에 대해서  (0) 2023.06.22
스포츠 심리학에 대해서  (0) 2023.06.22